삶을 흥하게 하는 대한불교 조계종
전각 안내
  • 경흥사 대웅전

    경흥사 대웅전

  • 경흥사 명부전

    경흥사 명부전

  • 경흥사 자미전 / 독성전 / 산령각

    경흥사 자미전 / 독성전 / 산령각

경흥사 대웅전 (慶興寺 大雄殿)
  • 40여평 규모에 정면 3칸 측면 3칸의 경흥사 대웅전은 홑처마 맞배지붕 구조로 외벽에는 부처님의 생애를 그린 그림과‘빈자일등(貧者一燈)’등의 불교이야기 를 다룬 벽화가 있으며’대웅전 문살은 6엽의 연꽃무늬살에 현대적인 미를 가미 해 놓았다. 대웅전내부에는 석가모니불을 중심으로 문수보살과 보현보살이 좌 우에 협시하고 있다. 경흥사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으로 일컬어 지고 있는 이 목조삼존상은 2012년 2월 22일에 보물 1750호로 지정되었다.
경흥사 명부전 (慶興寺 冥府殿)
  • 명부전은 경흥사의 옛 대웅전으로 경흥사에서 가장 오래된 전각이다. 외벽에는 석가모니의 보리수나무 아래에서의 수행도, 달마 수행 시 혜가와 제자의 연을 맺은 이야기, 원효스님이 해골물을 마시고 깨달음을 얻은 이야기 등을 묘사해 놓고 있다.
경흥사 자미전 / 독성전 / 산령각
(慶興寺 紫微殿 / 獨聖殿 / 山靈閣)
  • 자미전, 독성전은 정면 2칸, 측면 1칸의 맞배지붕 구조의 건물을 반으로 나누 어 각각 1칸씩 사용하고 있으며, 외벽에는 칠성탱을 묘사한 벽화와 나반 존자 의 수행도가 그려져있고 내부에는 칠성탱화와 독성탱화가 나란히 모셔져 있 다. 정면•측면이 각각 1칸씩인 산령각 내부에는 산신탱화가 모셔져있다.
  • 경흥사 강학당

    경흥사 강학당

  • 경흥사 범종각

    경흥사 범종각

  • 경흥사 소전대 / 우화등선 비

    경흥사 소전대 / 우화등선 비

경흥사 강학당 (慶興寺 講學堂)
  • 스님들이 공부하는 공간인 강학당은 정면 3칸, 측면 2칸의 맞배지붕 구조이며, 명부전과 나란히 위치하고 있다.
경흥사 범종각 (慶興寺 梵鍾閣)
  • 경흥사 범종각은 매우 크고, 범종 표면에 종송(鍾頌)이 새겨져 있다. (이 종소리 법계에 두루 퍼져...모두 다 밝아 지소서)
경흥사 소전대 / 우화등선 비
(慶興寺 燒錢臺/ 羽化登仙 碑)
  • 영가 소각을 위한 소전대(燒錢臺)와 “날개가 돋아나서 신선처럼 높이 오르 라”는 뜻의 비(碑)가 경내 서편에 위치 하고 있다.
  • 경흥사 보경수 관세음보살

    경흥사 보경수 관세음보살

  • 경흥사 부도(승탑)

    경흥사 부도(승탑)

  • 경흥사 사계

    경흥사 사계

경흥사 보경수 관세음보살
(慶興寺 寶經手 觀世音菩薩)
  • 종무소와 명부전 사이 야외공간에 위치하는데, 지혜, 시험, 승진, 취직, 인연을 관장하는 보살님으로 오른손에 경전을 쥐고있다.
경흥사 부도(승탑) (慶興寺 浮屠)
  • 경흥사에는 예로부터 부도가 많아 경내 동쪽의 구릉지를 지금도‘부부딧딧골골’이라 고 부르는데, 한 때 경흥사에서 수행한 옛 스님들의 부도 36기가 보존되어 있었 으나 일제 강점기를 거치면서 대부분이 훼손 되었다. 6.25사변 이후 그 중 일부 인 부도 6기와 깨진 비석 1기를 신도들이 찾아 봉안해 놓았다.
경흥사 사계 (慶興寺 四季)
  • 중생을 구원하는 부처님의 자비가 온 누리에 퍼지는 곳